청도관광지-영빈관 (迎宾馆) 청도 영빈관 (迎宾馆) 신호산공원 아래 있음 . 도보로 5분 거리. 독일인들이 지어서 총독관저로 사용하다가, 그 후, 일본 수비군 사령부 관저, 마오쩌둥 여름별장등으로 사용되었음.... 청도 신호산풍경구의 남쪽에 위치해 있는 관광지로서 유럽황실의 풍채를 보여주는 독일 옛보루형의 건축입니다. 원.. 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중국문화예술호텔 이야기 2009.02.01
행복한 삶을 살지 못하는 이유 ♣ 행복한 삶을 살지 못하는 이유 ♣ 사랑 결핍 사랑이 부족하다. 독신이나 가정 사정으로 인해 사랑받지 못하고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사랑 결핍증에 걸리고 행복감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행복의 조건 행복에 조건을 붙이기 때문이다. 미리 조건을 정해놓고 그 조건에 맞는 행복이 걸려들기만.. 하늘을 향한 마음/마음을 열고 2009.02.01
제비부부의 사랑이야기 제비부부의 사랑이야기 .. .. 일어나요.. 나와 같이 드높은 하늘을 훨훨 날자고 약속했잖아요.. 벌써 잊어버린건 아니겠죠?? 이렇게 차가운 바닥에 누워있지 말고 어서 일어나란 말이에요.. 바보같이 왜 이렇게 누워 있는거에요.. 숨을 놓아버린 것처럼 그렇게 미동도 하지 않는 모습 전 무서워요.. 당신.. 하늘을 향한 마음/마음을 열고 2009.02.01
친구 그간 어떻게 지냈나? * 길 떠날 나그네들 * 친구... 그간 어떻게 지냈나? 나 말인가? 정년퇴직 후... 평생을 다니던 직장서 은퇴한 뒤 그동안 소홀했던 자기충전을 위해 대학원에 다니기 시작했다네. 처음에 나간 곳은 세계적인 명문인 하바드대학원. 이름은 그럴싸하지만 국내에 있는 하바드대학원은 하는 일도 없이 바쁘게 .. 하늘을 향한 마음/마음을 열고 2009.02.01
이렇게 살아가게 하소서 ♣ 이렇게 살아가게 하소서 ♣ 남자는 마음으로 늙고 여자는 얼굴로 늙는다고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꽃 같은 인품의 향기를 지니고 넉넉한 마음으로 살게 하소서. 늙어가더라도 지난 세월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언제나 청춘의 봄날같은 의욕을 갖고 활기가 넘치는 인생을 살아가게 하소서. 우러난 .. 하늘을 향한 마음/마음을 열고 2009.02.01
다 바람 같은 거야 다 바람 같은 거야 / 묵연스님 다 바람 같은 거야 뭘 그렇게 고민하는 거니? 만남의 기쁨이건 이별의 슬픔이건 다 한순간이야 사랑이 아무리 깊어도 산들바람이고 오해가 아무리 커도 비바람이야 외로움이 아무리 지독해도 눈보라일 뿐이야 폭풍이 아무리 세도 지난 뒤엔 고요하듯 아무리 지극한 사연.. 하늘을 향한 마음/마음을 열고 2009.02.01
청도 택시 청도택시 내부 청도의택시들은 폭스바겐이 대부분입니다. 깨끗하고 웅장한 거리에 비해서 택시는 볼품이 없지만 올림픽 개막에 맞추어 모두 새차로 바뀌어서 깨끗합니다. 택시 기본요금은 7위안입니다. 그런데 내릴 때 무조건 유류할증료 1위안을 더 내야합니다. 고급택시는 10위안이고요. 서울에 비.. 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중국문화예술호텔 이야기 2009.01.31
중국 속의 한글 옷에서는 여전히 난해함이 난무합니다. 때에 따라 급할 경우에는 정말로 생수통의 보온재로 이용되는지도 모르죠. 클론 노래의 한 구절 같기도 합니다만.. 글 뿐이 아니라 손가락도 덜덜덜;;;스럽습니다. 불법카피 한국음악 씨디의 뒷면입니다. [고요한 밤 거룩한 잠]은 오타라기 보다는 뭔가 창조스럽.. 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중국문화예술호텔 이야기 2009.01.31
중국 술을 맛있게 먹는 방법 바이쥬(중국 술)를 맛있게 먹는 방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혹시 이렇게 드시는 분들 계신가요? 중국에 가게 되면 꼭 마시게 되는 바이쥬 어떻게 마시냐 하면요.. 첫째 38도에서 52도 정도되는 바이쥬는 독하면서도 냄새가 많이 나 처음 접하는 한국인들은 마시기가 참 난감합니다. 그럴 때는 쉐이삐(사이.. 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중국문화예술호텔 이야기 2009.01.31
왜 청도이어야 하는가? 60년대 말이었던가? 70년대 초반이었던가? 고등학생 때 단체로 영화구경을 갔었다. 영화가 끝났을 때 떨리는 가슴을 억제하지 못하게 했던 그 영화의 제목은 바로 남태평양, South Pacific. 당시 70mm 영화를 상영할 수 있는 영화는 대한민국에서 오직 대한극장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불행하게도 몇 십 년.. 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중국문화예술호텔 이야기 2009.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