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중국 소도시 시장을 뚫어라 많은 경영진이 중국은 쉽지 않다'고 토로한다. 중국은 두 가지 면에서 쉽지 않다. 먼저 중국 시장에서 자리 잡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이보다 더 쉽지 않은 것은 중국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그런데 간혹 이 어려운 중국 시장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기업들이 있다. 루이뷔통, 스와..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16
[스크랩] 저장성 상인대해부 "시장이 있으면 저장(浙江)상인이 있고 시장이 없으면 저장상인이 만든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저장상인은 중국에서도 가장 장사를 잘하기로 유명하다. 베이징이나 상하이 등 중국 각지에 시장이나 상가를 만들어 분양하는 상인은 십중팔구 저장성 원저우(溫州)상인이고, 해운이나 물류를 장악한 사..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15
50개 매장 4400개로…이랜드, 중국 사로잡은 비결 최종양 중국 이랜드 사장, 15년만에 매장 4400개로 늘린 비결 "정직한 납세, 꾸준한 사회봉사… 중국 정부와 끈끈한 관계 생겨" 13억 인구의 중국은 어느 기업이나 군침을 흘리는 시장이다. 그러나 중국 시장은 절대 호락호락하지 않다. 의욕적으로 중국에 뛰어들었다가 쓰디쓴 실패를 경험한 기업이 많..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15
파리바게뜨 "중국 내수시장 공략, 이렇게 성공했다" "한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 시장에 진출할만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부터 고민해봐야 한다. 확신이 선다면 철저한 시장조사와 연구를 통해 현지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파리바게뜨의 중국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황희철 상무가 13일 베이징 한국 기업인들의 모임인 베..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14
연재 - [비즈니스트렌드] ② 장밋빛 중국 불안요소도 챙겨라 2. 메가차이나, 그 미래는? [이투데이 배준호 기자] 개혁개방 정책의 성공으로 중국 경제가 빠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중국은 미국과 더불어 세계 경제 및 정치를 움직이는 G2로 부상했지만 중국의 밝은 미래를 위협하는 불안요소도 많다.경제적으로 중국의 위기를 논할 때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부동..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13
중국상업습관 중국은 나라가 크고 인구가 많은 나라라 지역마다 상거래 관행에 차이가 있음. 일반적으로 북쪽은 스케일이 크고 남쪽은 세심하다. 중국인의 상거래 대화술 ◎ 중국인들은 상담시 먼저 상대방을 치켜 세우거나, 거래의 장밋빛, 전망을 설명하며 상대방의 호감을 산 후 상담을 진행한다. 따라서 외국인..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12
"中 경제 3년 연속 성장 둔화, 2013년 7% 떨어져" ▲ [자료사진]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거시경제학회 왕젠 비서장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改委,이하 발개위)에서 중국 경제가 앞으로 3년간 성장 둔화를 겪을 것이라 예측했다. 중국 포탈사이트 시나닷컴(新浪, www.sina.com)은 11일 발개위 거시경제학회 왕젠(王建) 비서장의 말을 인용해 "중..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12
연재 - [비즈니스트렌드]① 중,인프라 블루오션 주목...2011년 제조업 美 제친다 ① 인프라 블루오션 주목...2011년 제조업 美 제친다 (편집자주: 팍스아메리카나 시대가 가고 미국과 중국 등 이른바 'G2'시대가 도래하는 등 글로벌 경영환경이 긴박하게 변화하고 있다. 미국발 서브프라임(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에 이은 금융위기와 최근 유럽발 재정위기까지 기업을 둘러싸 변수는..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11
모기지 노예됐던 美…다음은 중국 차례? 과욕(過慾)이 중국에 위기를 불러올까. 2008년 미국 금융시장이 마비되면서 세계 경기가 침체에 빠졌을 때, 많은 이들은 ‘과욕’을 탓했다. 미국 소비자들은 수십년은 족히 걸려야 갚을 수 있는 주택을 사들이며 모기지의 노예가 됐다. 월가(街) 투자은행들은 주택시장의 허술함을 알면서도 더 높은 수..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11
"중국 女心을 잡아라"... 한국 화장품업체 진출 '러시' 한국 화장품사들이 중국시장 공략 수위를 높이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사들은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큰 중국 시장을 겨냥해 발빠른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화장품 시장은 최근 5년동안 매년 16%씩 성장해 왔으며 2014년에는 840억 위안(한화 약 14조4000억원)..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