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가을인 94년 10월말.
나와
라리즈공사(來利知公司) 천쉐넨 사장을 찾아온것이다.
라리즈회사는 중미합작기업이다. 대표는 중국측의 천쉐넨으로 되어있다. 처음 칭다오에서 설립하여 미국투자회사와 상품교역을 주로 하였다. 천사장은 48세로 원래가 대학교수였다. 학술연구차 미국을 몇번 드나들다가 우연한 기회에 합작제의를 받고는 돈도 안되는 교수직을 던져버리고 사업가의 길로 들어선 당시 광범위하게 유행했던 전업 케이스다. 월급이 일반 노동자에게도 못미치는 수준이었기에 교수들로서는 기회만 있다면 사업가로 변신하길 갈망하던 때였다. 미국투자회사쪽에서도 중국정보가 깜깜하던 시절이라 믿을만한 사람만 있으면 합작하기를 원하였던 것이다. 세미나차 미국출장을 자주 다니던 사람들에게는 이런 기회가 무궁무진했다.
천사장이 나와 인연을 맻기시작한 것은 당시 나와 거래가 있었던 중국공장 사장의 부친이 천사장의 하늘 같은 사부였으므로 우연한 기회에 소개를 받았던것이다. 제자중에 그만한 제자는 더물다고 했다. 성격이 온화하고, 미국물을 먹어서인지 합리적이며, 부인을 지극정성 모시는 현부양부 타입이다. 사업도 잘 되었다. 우리도 라리즈회사로부터 구입하는 것이 몇가지 있었다. 그러다가 한국산 제품을 중국내에 판매해 보겠다는 제의를 받고 자동차용품 몇가지를 수입해다가 공급하기 시작한것이다. 그리 물량은 많지를 않았으나 몇번 공급하기 시작하자 대금회수에서도 조금씩 여유를 주기 시작했다. 통상 공급후 한달내에 결제가 이루어졌다.
잘 나가던 그도 결국 한방을 맞았다. 자신이 거래하던 미국측 바이어와 무언가 삐끄득 한 모양이다. 어느날 사라져 버렸다. 내가 그들의 사무실에 갔을때는 수 많은 중국거래처가 법원직원을 동반하고 난리를 피우고 있었다. 약 30여명이 북적이던 사무실도 어수선했다. 사장,부사장,회계 모두 날라버리고 아무것도 모르는 실무자들만 들들 볶이고 있었다.
"우리도 법원에 접수를 할까요?'
나는 소용없다고 생각했다.모든서류와 계약서, 싸인이 된 물품인도 확인서가 그대로 있어, 법원에 신고를 하면 틀림없이 승소를 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그 뿐이다.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의 판결문은 휴지조각에 불과하다.
사람을 잡는 방법밖에 없다.
한달정도 지난후, 그의 사부를 통해서 하얼빈에 있음을 알았다. 재주가 좋은지 사업도 꽤 크게 한다고 한다. 주로 러시아와 거래를 많이 한단다. 간도 크게 라리즈회사명을 그대로 쓰고있다. 장거리전화를 하니 화들짝 놀란다. 형편이 어려워서 지금 당장은 안 되겠고 시간을 좀 달라는 것이다. 중국인은 형편이 안되어 결제를 못하겠다라는 직설적 표현을 죽어도 쓰지 않는다. 돈이 있더라도 이리저리 꼬불쳐놓고는 반드시 나중에 갚겠다는 말은 한다. <못주겠다>해버리면 이미 범죄를 구성한다.<나중에 주겠다>는것은 그것이 일년후가 되던 십년후가 되던 범죄는 아니다.
능청스럽게 하얼빈에 놀러오면 꼭 찾아달란다. 한턱 찐하게 쏘겠단다. 사실 그와 평소에는 호형호제 해 감시로 인간적으로는 그만한 펑여우(朋友)도 드물지 않았던가. 그러나 사업이 여의치 않을시에는 형제도 친구도 눈에 보이지 않는것이다. 그사이 천사장은 부인과도 이혼을 했다. 아니 정확히는 부인으로부터 버림을 받았다. 그자신은 부인을 버릴 인물이 못된다.
"하얼빈으로 가자."
몇 달후 모든서류를 챙겨서
하얼빈은 확실히 춥다.
늦가을인데도 벌써 찬공기가 옷깃을 헤치고 들어온다. 라리즈회사는 하얼빈역과 스탈린공원 중간쯤에 있다. 2층사무실은 중후한 색상과 큼직큼직한 고가구로 들어차 있는데 러시아 통치시대의 잔영이 남아있는 하얼빈거리와 잘 어울린다. 10여명의 직원들이 바삐 움직이고 있는사이로
[什麻時候回來?(언제 돌아옵니까?)]
[對不起.不淸楚!(죄송합니다.잘 모르겠는데요)]
[--지기미!]
[什麻? (뭐 라고요?)]
[沒什麻.謝謝..(아무것도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호텔로 돌아오는 차창밖으로 저어기 하얼빈역이 보인다.
저기서
호텔계단을 내려와 좌측골목으로 들어가면 두번째 집이 조선족 식당이다.
홀에는 탁자가 많아야 대여섯개 뿐이고 세평정도되는 방이 서너개 있다. 벌써 따뜻하게 군불을 넣어놓았는가 보다. 21인치 TV가 한쪽 구석에 있고 그 밑에 투박한 마이크가 두개 가지런히 놓여져있다. 노래도 부를 수 있도록 해 놓았다. 우리 두사람은 식탁을 마주보고 팽이다리로 앉았다.
"내일쉬고 모래 떠나자."
"청도로 돌아가는 겁니까?"
"아니. 허이허로 가자."
"..................!"
"허이허는 어디제?"
"최북단 도시로 러시아와 국경지역입니다."
그는 칭다오로 내려오기 전에 한 2년정도 러시아와 중국을 드나들면서 장사를 한 경험이 있다. 중국산으로는 식품과 잡화를 갖고가서 러시아산 술과 짐승가죽등으로 바꾸어 왔던것이다. 제일 힘든 것이 열차내에서 러시아 범죄조직을 피하는것이란다. 러시아경찰도 깡패로 보고 피하는게 상책이다. 결국은 열차내에서 경찰들에게 화물을 몽땅 빼앗기고 빈털터리로 돌아와서 바로 칭다오로 내려온 그였다. 하얼빈에서는 천위안만 내면 러시아 입국비자를 발급해 준다고 한다.
그날밤 우리 둘은 앉은 자리에서 코가 삐뚤어지도록 마셨다.
노래책을 가나다라 순으로 한곡도 빠지지 않고 돌아 가면서 불렀다. 새벽까지 약 백여곡은 족히 불렀으리라.
※ 재판에 이기기는 쉽다. 집행은 때로는 공권력보다 포기하지 않는 자신의 의지가 중요하다.
민사사건에 대한 공권력은 다른 지역엔 잘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스프링/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 > 大陸歌-대륙에서 부르는 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륙가-공장을 짓고..(1) (0) | 2008.05.04 |
---|---|
[스크랩] 대륙가-떼인 돈 찾으러 1만리(3) (1) | 2008.04.23 |
[스크랩] 대륙가-떼인 돈 찾으러 1만리(2) (0) | 2008.04.23 |
[스크랩] 대륙가-이제 잔을 채우자! (0) | 2008.04.23 |
[스크랩] 대륙가-프롤로그. (0) | 200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