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께끼의 나라 중국에서 통역의 문제 1 처음에 중국 진출하기 위해서는 중국어가 필수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완벽한 중국어를 구사하는 외국인은 드물며, 중국어를 전공으로 한 사람도 중국어 실력이 전문적인 면에서는 부족한 것이다. 중국에서 태어난 중국인마저도 완벽하게 구사할 수 없는 것이 뜻글자인 한문(중국어)인 ..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13
수수께끼의 나라 중국 - 관행은 반드시 이해애야 중국 시장은 보기에는 허술한 것 같으나 철저히 조사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진입이 어려운 시장으로서 진출한지 몇 년씩 되는 사람도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감안할 때, 중국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은 개인사업자의 경우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개인 사업자 들을 포함한 한국의 기..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12
수수께끼의 나라 중국 - 중국에서 장사하기 - 중국에서 장사하기 - 1) 윗물이 맑으면 고기가 없다?함께 濁水에 발을 담구어라! 2) 중국을 좋아하라, 싫어하는 자는 중국에서 실패한다 3) 문화는 사회환경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며 나쁜 것으로 보기 보단 다른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상대의 부정속에서 긍정을 볼 줄 아는 지혜가 무엇보다 필요하..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12
수수께끼의 나라 중국 분석 - 한가지 수수께끼를 풀려고 중국을 갔다가 열가지 수수께끼를 가지고 나온 중국 1) 중국인은 우리와 달리 인간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지 않으며 이익이나 실력의 측면을 가려 살피면서 접근한다. 2) 중국인은 철저한 무관심,불간섭,자기 편의주의,체념,남에 대한 과장 그리고 자기포장에 능 하다.이들의..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11
중국서 사업할 때 알아야 할 문화 차이 외국을 방문했을 때 겪게 된 문화적 차이로 당황한 적이 한두 번은 있을 것이다. 관광차 들렀다면 그런대로 넘어갈 수 있지만 비즈니스 목적이라면 거래나 협상이 깨질 수도 있다. 외국으로 출장 가기 전 그 나라의 문화적 특성에 대해 미리 알고 가면 여행은 순조로울 것이다. 미국의 경제 격주간지 ..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04
[스크랩] 잘 안다고 할 때가 가장 위험한 순간이다. 중국 사회과학원이 발표한 중국 여행 그린북에 따르면 2010년도 중국여행 1위국가는 일본으로 423만명이었고 한국은 350만명으로2위를 차지했지만... 인구대비로 따져 볼 때, 한국이 단연 1위입니다. 게다가 비공식집계에 따르면 한국인 중국장기체류자는 30만~40만명으로 대만등 화교권국가를 제외하면 ..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04
中 직원들, QQ에서 한국 주재원들 "어쩌고, 저쩌고" 中 기업경영자가 QQ에 무관심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 현대는 IT기술을 기반으로 한 소통의 시대다. 그리고 그 소통의 수단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번 한국의 4.27재보선에서는 트위터가 선거의 승패를 갈랐다고 평가하는 사람도 있다. 중국의 웨이보(微博-미니블로그-한국의 트위터와 유사)와 QQ대..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04
중국에서 계약체결 중국에서 계약서 작성시 주의할 점 중국에서는 계약서를 합동(合同)이라고 한다. 계약서 작성이란 계약 당사자가 계약내용을 완벽하게 이행하도록 쌍방의 권리, 의무를 서면으로 확정하는 행위이다. 그러므로 계약서 작성시에는 중국의 합동법(계약법)과 관련법을 알아야 계약서 내용파악 소홀로 인..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03
공룡의 강점을 역이용하라 요즘 들어 많은 혁신제품들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공룡기업들의 심한 견제로 많은 제품들이 꿈 한번 펼쳐보지 못 하고 사라져 간다. 일단 시장 진입에 성공할 확률은 약 10% 정도라지만 실제로 공룡기업들의 견제를 뚫고 끝까지 살아남을 확률은 0.3%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 만큼 견제가 심하..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02
중국 무역의 간단한 절차 안내입니다 중국 무역 절차를 간단하게 표현해 보겠습니다. 거창하게 신용장이니, FOB,CIF등의 표현은 쓰지 않겠습니다. 1.제품의뢰 - 2.조사 - 3.구매 - 4.검품검수 - 5.결제 - 6.물류 1. 제품의뢰 한국에서 중국측으로 제품을 의뢰합니다. 처음은 한국측의 이미지사진교환, 샘플교환등의 순서로 시장조사가 이루어집니.. 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2011.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