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이어 26일에도 인터넷에 노트7 발화 보고
중국 언론 “일부 매장 갤노트7 판매 잠정 중단”
중국에서 갤럭시노트7 발화건이 잇따라 보고되고 있다.
이달 18일 보고된 두대의 갤럭시노트7 발화건에 대해
삼성전자와 배터리 회사 ATL이 외부 가열 탓이라고 다음날 조사결과를 발표했지만
이후 24일과 26일에도 추가로 갤럭시노트7 발화 건이 사진과 함께 인터넷에 돌기 시작했다.
중국에서 처음 보고된 두대의 발화 원인이 외부가열로 지목되면서
보상금을 노린 블랙컨슈머의 자작극으로 끝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지만
사태가 잦아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에 계정이름을 부라오더라오후이(不老的老回)로 등록한 네티즌은
26일 오후 갤럭시노트7 발화된 모습과 삼성 로고가 찍힌 충전기의 사진을 올렸다.
중국에서 보고된 4번째 갤럭시노트7 발화건이다.
네티즌은 “어제 징둥(京東, 중국 온라인쇼핑몰)에서 사서 도착했는데
오늘 폭발해 맥북 프로 노트북 PC위로 던졌다”고 전했다.
앞서 24일엔 중국 최대 가전 유통업체 쑤닝(蘇宁)에서 구입한 갤럭시노트7의
발화사진이 웨이보에 올라왔다.
이 사진을 올린 ‘KJuma’라는 계정이름의 네티즌은 바지도 탔다고 주장했다.
양저우만보는 쑤닝 양저우(揚州) 매장에서 팔린 갤럭시노트7은
수십대에 불과할 만큼 매우 적다며 일부 매장은 갤럭시노트7을 진열대에서 내리고
일시적으로 판매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추가로 보고된 발화건에 대해 삼성전자와 ATL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중국 뿐 아니라 국내 안팎에서도 블랙컨슈머에 의한 갤럭시노트7 발화가 잇따르고 있어
이번 발화도 이에 해당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에서 추가 보고된 발화사진과 외부 가열탓에 발화된 갤럭시노트7 사진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리콜하기로 한 대상(정식 판매전 체험용으로 공급된 1858대) 중
일부가 삼성의 관리 미숙으로 유통업체에 흘러들어갔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갤럭시노트7 발화가 쉽게 일단락될 것 같은 분위기가 아니다.
특히 18일 저녁에 갤럭시노트7 발화 사진을 바이두(百度)에 올린 네티즌은
중국 CCTV의 ‘소비주장’이란 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제3의 검사기관에 보내겠다고 동의했다가
이를 번복해 의혹을 낳고 있다고 중국언론들이 전했다.
이에 대해 해당 네티즌은 조용히 살고 싶다는 이유를 들었다.
CCTV에 따르면 이 네티즌은 두 차례 찾아온 삼성이 제안한 1만위안(약 170만원)
배상안을 수용하려고 했지만 “삼성이 소송을 제기할 수도 있다”는 한국언론의 보도내용을 본 후
(한국언론이 보도한 내용을 인용해 중국언론이 보도) 삼성의 제안을 거절했다.
일부 중국언론은 이 네티즌이 갤럭시노트7을 계속 들고 있었는데
어떻게 이에 대한 조사결과가 나올 수 있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제3의 기관에 의한 조사를 촉구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갤럭시노트7 250만대에 대한 리콜을 선언했지만
중국에서 정식 판매된 제품은 발화원인으로 지목된
삼성SDI 배터리를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리콜 대상에서 뺐다.
하지만 중국에서도 발화 사건이 잇따르고,
왜 중국 소비자만 차별하느냐는 주장이 호응을 얻으면서
이번 발화 사태가 쉽게 잦아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26일 중국계 모바일 인터넷 컨설팅회사 ‘ii미디어리서치(iiMedia Research)’가
중국 본토에 거주하는 1만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절반 넘는 응답자(51.9%)가
“삼성 스마트폰을 사지 않겠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두(成都)시 정무서비스센터가 26일 갤럭시노트7 사용 금지령을 웨이보를 통해 발표한 뒤
이 소식이 확산되면서 파장이 커지자,센터 측은 9명의 직원들만 대상으로 한 것이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가 이달 2일 전세계에서 갤럭시노트7 판매를 중단할 때
중국도 판매 중단을 하는 게 낫지 않았겠느냐는 주장도 나온다.
중국에서는 이달 1일 정식판매를 시작해 하루 판매분만 리콜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 판매 시기에 맞춰 준비한 마케팅이 때를 놓치면 낭비가 될 수 있는데다,
문제 없는 배터리를 탑재한 제품마저 판매를 중단하는 건 이치에 맞지 않고,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과정이 복잡해지는 등의 이유 때문에 중국내 판매를 강행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문제는 소비자들의 반응이 꼭 이성적이지 만은 않다는데 있다.
오광진 특파원
'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 > 중국과 친해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개인정보 불법 유출·매매범 10명 중 1명은 ‘내부자’ (0) | 2016.09.30 |
---|---|
[스크랩] 외국인들 한자 새겨진 옷. 문신 즐겨.중국인도 무슨뜻인지 몰라.. (0) | 2016.09.29 |
1위안으로 자동차를? 중국, 추첨식 구매 시장 흥행 (0) | 2016.09.29 |
중국의 마지막 사법고시와 로스쿨에 대한 새로운 접근 (0) | 2016.09.27 |
중국의 철도 교량 건설 장면... (0) | 2016.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