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추진하던 1000억 위안(약 16조4000억원) 규모의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시설 건설 작업이
주민 반대에 결국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환경문제에 민감해진 중국인이 최근 환경오염 시설에 반대 목소리를 키우면서
정부 정책 추진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장쑤성 롄윈강시 인민정부는 지난 10일 웨이보에
장쑤성 롄윈강시 인민정부는 지난 10일 웨이보에
“핵순환 프로젝트 부지 선정 예비작업을 잠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6일부터 주민 1만명 이상이 참여하는 계속된 시위에 시정부가 한 발 물러선 것이다.
시위에 참가한 주민들은 ‘핵폐기물 반대’를 외치며 정부가 대규모 투자와 경제적 이익만 중시한 채
주민의 안전과 건강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롄윈강시 정부는 지난 7일 “시민 의견을 수렴해 투명하게 처리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주민의 분노를 잠재울 수 없었다.
중국 에너지기업인 중핵집단(CNNC)은 프랑스 원자력발전 기업 아레바(AREVA)의
중국 에너지기업인 중핵집단(CNNC)은 프랑스 원자력발전 기업 아레바(AREVA)의
기술력을 이용해 중국·프랑스 합작사업 중 최대 규모인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었다.
중국 매일경제신문에 따르면 재처리 시설은 2020년 공사를 시작해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현재 롄윈강시 등에서 부지 선정 작업이 진행 중이다.
주민들은 ‘잠시 중단’이라는 말에 의심을 완전히 지우지 않았다.
주민들은 ‘잠시 중단’이라는 말에 의심을 완전히 지우지 않았다.
시위에 참가한 장모씨는 “우리는 잠시 중단이 아니라 완전 중단을 원한다”면서
“롄윈강에는 이미 원자력발전소가 있어 재처리 시설로 포위하는 것은 우리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말했다.
원전 관련 시설이 주민 반대로 무산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원전 관련 시설이 주민 반대로 무산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2013년 광둥성 장먼시는 농축우라늄 처리시설 건설을 추진하다 주민 반대로 포기했다.
석유화학 공장이나 쓰레기 소각장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의지도 더욱 확고해지고 있다.
후베이성 셴타오시(6월), 광둥성 자오칭시(7월)에서는 쓰레기 소각장 건설 계획에 반대하는 대규모 거리 시위가 벌어졌다.
하지만 재처리 시설은 원전을 유지한다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다.
하지만 재처리 시설은 원전을 유지한다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다.
중국은 2030년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대체에너지 비중을 20%로 끌어 올리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그러려면 2014년 3%에 불과한 원전 비중을 대폭 높여야 한다.
칭화대 구이리밍 교수는 “현재 원전 숫자를 배로 늘려야 하는데 간쑤성에 있는 재처리 시설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은 원전 30기를 가동 중이고 24기를 건설 중이다. 2030년까지 110기로 늘리겠다는 게 목표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그래픽=이은지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그래픽=이은지
'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 > 중국과 친해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熱風에… 대구, 서울보다 먼저 열대야 탈출 (0) | 2016.08.16 |
---|---|
[스크랩] <광복71년>中 뤼순감옥에 서린 안중근 의사의 숨결 (0) | 2016.08.16 |
여자가 아름답지 않으면 안되는 이유 (0) | 2016.08.12 |
[스크랩] 北, 중국에 동해NLL 조업권도 팔았다…통치자금 충당 목적 (0) | 2016.08.12 |
`함부로 애틋하게` 중국과 미주 지역에서 폭발적 반응 (0) | 2016.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