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중국과 친해지기

[스크랩] 드러나지 않는 중국인의 면모

주님의 착한 종 2011. 7. 21. 10:39

중국사람들은 매우 현실적이다.

다시 말해 그들은 현실을 중시하는 민족이다.

중국인들은 콩쯔(孔子<공자>)라면 위대한 사상가이자 교육자로서

지성으로 추앙하는데 이들의 현실중시 경향은 그의 영향을 받았다.

선뜻 이해가 가지 않을 지도 모른다.

우리는 흔히들 콩쯔는 케케묵은 문자나 즐겨 사용하며

예의니 효도니 따위의 말만 하는

 
고리타분한」존재쯤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그는 귀신이니 도깨비등과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일체 언급조차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는 「하늘」이니 「죽음」까지도 논하려 들지 않았던 사람이다.



그것은 곧 「비현실적인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가 강조한 모든 것들은 현실과 밀착된 것들

예들 들어 교육, 부모 섬기기, 수양하기, 음악듣기, 교제하기 등등이었다.

사실이지 고리타분한 존재는 콩쯔나 멍쯔(孟子<맹자>)가 아니라

라오쯔(老子<노자>)나 쫭쯔(莊子<장자>)인 셈이다.

그들의 글을 보면 얼마나 황당무계한지 쉽게 드러난다.

『道(도)라고 할 수 있는 도는 도가 아니며 이름 붙일 수 있는 이름은 이름이 아니다』

『북쪽 바다에 곤(鯤<곤>)이라는 물고기가 있었는데 그 크기는 수천리가 넘는다』

라오쯔와 쫭쯔의 말이다.

무슨 뜻인지 아직도 이해가 잘 가지 않는다.

이 얼마나 뜬 구름잡는 소리인가?

중국은 땅이 넓고 사람이 많아서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신화의 재료가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신화가 거의 발달하지 못했으며

또 신화를 바탕으로 발달하는 소설도 덩달아 찬밥 신세를 면치 못했다.

신화나 소설은 모두가 「허구」를 바탕으로 하는 비현실적인 것이라고

콩쯔가 배척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현실을 중시하는 중국사람들에게는 먹는 것이야말로

「하늘」과 같은 존재였으며 모든 것은 먹는 문제로 귀착되었다.

훌륭한 통치자란 민주정치를 실시했던 천자가 아니라

먹게 해줄 수 있는 천자를 말했다.



중국사람들이 역시 「하늘」처럼 떠받드는 堯(요)임금과 舜(순)임금도

민주정치를 해서가 아니라

백성들로 하여금 잘 먹고 잘 살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사람들은 천지와 인간을 창조했다는

신보다 堯舜(요순)임금을 훨씬 더 존경한다.

우리가 단군할아버지를 숭배하는 것과는 사뭇 다르다.

중국에서 먹는 것을 완전하게 해결한 것은

1949년 중국에 공산정권이 들어서고 나서의 일이므로 불과 얼마 전의 일이다.

그동안 「조용」했던 것은 이념의 문제도 있겠지만

기본적인 「현실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이 점을 누구보다도 잘 간파했던 마오 쩌 뚱(毛澤東<모택둥>)의

통치력이 뒷받침된 것이다.

중국사람들의 현실중시경향은 쉽게 드러난다.

복잡한 형식이나 겉치레를 싫어하며 내용을 중시한다.

그들이 지내는 제사를 보면 절차가 우리보다 훨씬 단순하다.

「겉보다는 실속」인 것이다.



마오 쩌 뚱이나 쪼우은라이(周恩來<주은래>)

떵샤오핑(鄧小平<등소평>)이 양복입은 것을 본 적이 있는가.

그들이 흔히 하는 말이 있다.

『麻雀雖小(마작소소), 五臟俱全(오장구전)』(참새가 작아도 오장은 있다)

그들에게는 있고 없음이 중요하지 어떤 것이 있느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요즘 불고 있는 이른바 「실용주의」라는 것도

그들에게는 결코 새로운 용어가 아니다.

과거 몇십년 동안 현실보다 이데올로기를 앞세웠던 데 대한

일종의 반대용어일 뿐이다.

등소평의 실용주의노선은 드래서 보다 더 중국적인지도 모른다.

중국사람들은 체면을 중시한다.

그래서 『중국의 성격』이라는 책을 쓴 바 있는

영국의 전도사 아담 스미스는 중국사람을 이해하는 관건으로 체면을 들었으며,

린위탕(林語堂<임어당>)같은 이는 『내 나라네 국민』

(吾國與吾民<오국여오민>)에서 중국을 지배하는 세 여신으로 체면,

운명, 은전(恩典<은전>)의 여신을 들었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체면의 여신이라고 했다.

중국의 문화를 주도해온 사상은 콩쯔로 대표되는 유가였다.

그런데 유가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현실을 중시한다.

그래서 내세가 없다.

그러다 보니 문제가 생겼다.

죽음 앞에서는 누구나 두려움을 느끼게 마련인데

불교처럼 내세를 앞세우면 인심을 모을 수도 있으련만

유가에서는 근본적으로 불가능했다.

바로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게 「이름을 남기는 것」이다.

그러면 육신은 죽되 정신을 죽지 않는다고 보았다.

열심히 공부하여 자신의 이름은 물론 조상의 이름까지

드날리는 것(立身揚名<입신양명>)이야말로 효의 극치라고 했다.

명분이니 명예라는 말은 그레서 나왔다.

그런데 名(명)은 다분히 정신적인 이름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육신을 나타내는 이름은 무엇일까 ?

그것은 바로 이목구비를 가지고 있는 얼굴이다.

곧 얼굴은 육신의 실질적인 이름인 것이다.

그래서 중국 사람들은 얼굴도 명예와 함께 중시했다.

「경을 친다」는 말이 있다. 경(경<경>)이란 이마에 먹물을 들이는

형벌로 참형 다음 가는 중형이다.

평생 얼굴을 들 수 없게 하는 형벌이었던 것이다.

또 厚顔無恥(후안무치)라는 말도 있다.

얼굴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해 체면을 닦지 못한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서

실제로 중국에서는 그런 사람에게 얼굴가죽을 벗기는 형벌을 가했다.

너무 두꺼웠기 때문이다.



이처럼 얼굴은 육신의 상징으로 중시되었다.

우리나 중국이나 지금도 경찰에 체포된 범인이 얼굴부터 가리는 것도

이런 데서 연유한 것이다.

체면을 중국어로 미엔쯔(面子<면자>)라고 한다.

곧 얼굴이라는 뜻이다.

워낙 미엔쯔를 중시했던 민족이었던 만큼 체면 때문에

죽음을 자청했던 경우도 많다.



周(주)나라가 서자 불사이군을 외치면서

수양산에 들어가 굶어 죽기를 자청했던 뽀이(伯夷<백이>)와

수치(叔齊<숙제>)도 사실은 체면 때문이었으며

료 우빵<劉邦<유방>)에게 패주를 거듭하던 샹위(項羽<항우>)도 도망치면

목숨만은 부지할 수가 있었지만 체면 때문에 烏江(오강)을 건너기를 거부하고

자결을 선택했다.

『내가 무슨 면목으로 건넌단 말인가』.

總理衙門(총리아문)이라면 청나라때 외교를 담당했던 기관으로

지금의 외무부에 해당된다.

당시는 서구 열강들이 중국을 마음껏 유린하던 때였다.

서영사름들은 걸핏하면 총리아문을 안방 드나들 듯하면서

자신들의 요구를 주장했다.

서양사름들이 이 곳을 출입할 때 재미있는 광경이 벌어지곤 했다.

즉 잔뜩 거드름을 피우면서 보무도 당당하게 정문을 통해 들어간다.

정문은 곧 체면의 상징이기 때문에 그렇게 함으로써

중국사람들의 기세를 꺾어 놓는다.

그러나 나중에 요구사항을 관철시키고 나갈 때는 슬그머니 옆문을 이용했다.

구겨진 중국사람들의 체면을 다시 세워주기 위해서였다.

체면중시 풍조는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 체면과 관계되는 말은 무척 많다.

우선 체면 차리는 것을 쭈오 미엔쯔(做面子<주면자>)

남의 체면을 세워주는 것을 께이 미엔쯔(給面子<급면자>)

제 삼자의 체면을 봐서 부탁을 들어주는 것을

마이 미엔쯔(賣面子<매면자>)라고 한다. 체면을 팔았다」는 뜻이다.




출처 : 중국알아가기 |글쓴이 : 열혈진화인 [원문보기]
출처 : 중국에서성공하는자(중성자)모임
글쓴이 : 황하익스프레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