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80后 신세대 엄마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라

주님의 착한 종 2011. 5. 25. 10:05

- 중국 영유아 식품시장, ‘유기농’, ‘중국 전통식품’ 등에 열광 -

- 전통적인 방식 유통경로보다 인터넷 통한 거래 점차 확산 -

 

 

 

□ 영유아 전용 식품의 개념

 

  영유아 전용 식품은 영유아 보조식품으로도 일컬어지는데, 유제품 이외의 식품으로 영유아 시기에 필요한 각종 영양소를 전면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식품을 의미함.

 

  중국에서 유통되는 영유아 보조식품

  - 보조식품은 일반적으로 두 종류로 분류됨. 첫 번째는 곡물류로 영유아용 쌀가루, 쌀 시리얼 등이 있고, 두 번째는 기타 식품으로 각종 야채, 육류로 조제한 이유식 등이 있음.

  - 이외에도 유아용 간식으로 김, 과자, 초콜릿, 만토우(饅頭) 등이 있으며, 아기전용 음료와 영유아용 영양제 등도 있음.

 

중국 대형마트 내 영유아 식품매장

자료원 : 百度

 

□ 시장동향

 

 영유아 소비 시장의 발전기

  - 2000년 이래 중국의 영유아 경제는 연 30%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고속성장 중인데, 현재 중국은 영유아용품 수입 2위 국가로, 세계 최대 소비국으로 성장함.

  - 현재 중국 영유아 관련 소비는 가정 지출의 약 30%를 차지하는데, 2009년 시장 규모는 7500억 위안에 달했는데 2010년에는 1000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추산함.

  - 영유아 산업협회 및 관련 전문가들은 현재 중국의 영유아, 어린이용 용품 시장은 황금 발전기에 진입했다고 분석함.

     

  영유아 보조식품시장 또한 규모가 커져

  - 2009년 중국 영유아 보조식품 시장은 약 100억 위안 규모로 연평균 20% 내외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그 규모가 점차 증대되는 추세임.

  - 또한 현재 영유아 보조식품의 판매량은 매년 5만t으로 실제 수요량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나 7000만 명 이상의 소비시장으로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함.

  - 2016년 新베이비붐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영유아식품 시장 규모는 1000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수입브랜드의 시장잠식현상 여전해

  - 2008년 중국 영유아 식품시장은 Heinz, Beingmate, Nestle 3개 기업이 전체 시장점유율의 75.4%를 차지해, 일부 기업으로 지나치게 편중된 구도를 가짐.

  - 2009년에는 Heinz, Beingmate, Nestle 3대 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다소 낮아져 약 50%를 기록했는데, 百樂麥의 시장점유율 10%대 진입으로 시장 내에서의 경쟁구도가 점차 달라짐.

  - 수입브랜드가 독점하던 흐름에서 점차 중국 로컬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지나 2009년 판매율을 보면 Heinz는 59.2%, Nestle는 19.8%로 수입브랜드가 여전히 압도적임.

     

  인터넷을 통한 거래의 확산

  -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영유아용품 전문 판매점, 인터넷 쇼핑몰 등 유통 경로는 다양하나, 여전히 전통적인 방식의 슈퍼마켓, 대형마트를 통한 거래가 두드러짐.

  - 인터넷에 익숙한 80后 세대가 소비주력군으로 부상했고, 또한 B2C의 고속 성장으로 인터넷을 통한 직거래 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어, 과거의 유통방식에 변화의 조짐이 생김.

  - 대표적인 인터넷 판매 사이트로는 紅孩子, 淘寶, 京東商城 등이 있는데 가장 전문적으로 운영 중인 紅孩子는 2009년 20억 위안의 수익 중 산모 및 영유아 관련 용품의 판매가 무려 10억 위안에 달함.

 

중국 영유아 보조식품 유통 방식

자료원 : 北京硅谷天使投資 보고서

 

□ 수요동향

 

  베이비붐 시대의 도래는 수요 증가를 의미

  - 중국은 매년 3000만 명의 신생아가 출산되고 있는데, 현재 3세 이하의 영유아는 약 8000만 명, 6세까지 포함하면 1억8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됨.

  - 2008~2009년 임산부는 약 2000만 명에 이르렀는데, 점차 80后 임산부가 증가되면서 영유아 식품 시장의 판도가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함.

  - 2006년부터 제4차 인구증가기에 진입해 신생아의 숫자가 해마다 증가하는데, 이러한 추세는 2016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됨.

 

  신세대 엄마들의 달라진 소비 관념

  - 최근 중국의 젊은 엄마들 사이에서는 멜라민 파동, 불량 성분 검출 등 식품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건강한 먹거리, 고급 유기농 식품 등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

  - 유기농 식품의 경우 일반 식품보다 정가가 10~20% 이상 높은 반면에도, 그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영유아용 보조식품을 필수품으로 여기지 않으나 소비 능력이 우수한 가정에서는 브랜드의 인지도와 영양 성분을 따져 제품을 고르는 것으로 나타남.

 

□ 생산동향 및 주요 기업 현황

 

  대도시 위주로 분포된 생산기업

  - 현재 중국 내에서 유통되는 식품 브랜드는 다수이나, 인터넷 상에 정식으로 등록돼 있는 생산업체 수는 외자기업을 포함해 145개로 추정됨.

  - 생산업체를 지역별로 분류하면 상하이 61개, 베이징 38개, 산동성 33개로, 대도시에 주로 집중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Heinz, Nestle 등의 외자기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중국 로컬 기업의 신장이 주목할 만한데, 최근 伊利 또한 보조식품 생산 의사를 밝혀 경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임.

 

  시장점유율 압도적 1위, Heinz

  - 1869년에 설립된 이탈리아 최대 식품 제조업체로, 현재 57종의 식품을 생산하며 연 판매액은 101억 달러에 이름.

  - 1984년 중국 시장 진출 이후, 70여 년간의 우수한 영유아용 식품 제조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 영유아 식품 시장을 석권해나가고 있으며 현재까지 그 입지를 공고히 함.

  -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쌀가루, 음료, 분유 등이 있으며 풍부한 경험, 선진적인 기술,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설비 등으로 많은 중국 소비자들에게 전문 식품브랜드로 인정받고 있음.

 

  세계 최대 식품 회사, Nestle

  - 스위스의 세계 최대 식품기업으로 이미 중화권 지역에서는 최고 유명 브랜드이자 신뢰도가 높은 브랜드로 정평이 나있음.

  - 1986년 쌀가루로 중국 시장 첫 진출 이후 2006년부터 두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점차 중국 시장에서 중요한 지위에 이르게 됐고, 2009년 판매액은 157억 위안에 육박함.

  -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분유, 액체 분유, 영유아용 쌀가루·밀가루, 곡물류 제품, 커피, 아이스크림, 초콜릿, 사탕, 음료수 등이 있음.

 

  중국 로컬 브랜드의 부상, 百樂麥

  - 靑島百樂麥食品有限公司는 1993년에 설립됐으며 본사는 현재 칭다오에 있으며, 중국 전역을 6개로 분류해 각지에 20여 개의 지사를 운영 중임.

  - 수입브랜드가 독점하던 시장 내에서 ‘중국 전통식품’ 회사로 가치를 드높여, 현재는 시장점유율 약 10%의 주요 기업이자 중국 최고 영유아용 식품 기업으로 부상함.

  - 중국 전통 식문화에서 착안해 곡물, 계란, 육류, 야채 등의 식재료를 적절히 배합한 이유식이 대표적인 제품이며, 식품산업 내에서 최고 등급인 ISO 22000을 획득함으로써 신뢰를 얻음.

 

□ 제품군별 대표 제품

 

 

종류

사진

브랜드

가격

용량

1

泥糊

(죽처럼 걸쭉한

형태의 이유식)

Heinz

(이탈리아)

¥5.50

113g

2

米粉

(쌀가루)

Nestle

(스위스)

¥19.50

225g

3

肉松類

(살코기를 가공해 만든 분말)

Beingmate

(중국)

¥25.50

115g

4

面條類

(면)

百樂麥

(중국)

¥15.00

250g

5

零食

(간식)

Wakodo

(일본)

¥36.00

18g

자료원 : 紅孩子

 

□ 수입동향

 

  HS Code : 1901.10 0000 기준

 

중국 영유아 식품 수입 현황

(단위 : US$ 천, %)

자료원 : KITA

 

국가별 수입액

(단위 : US$ 천, %)

순위

국가명

2009

2010(1월~11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Singapore

322,719

84.4

335,626

17.9

2

New Zealand

154,007

59.3

133,318

-0.4

3

Netherlands

21,356

32.0

32,558

68.1

4

France

14,347

375.5

28,495

127.5

5

Australia

14,743

-7.5

26,113

109.7

6

Denmark

5,042

-85.7

19,592

288.6

7

Japan

20,468

152.8

12,592

-26.4

8

Germany

6,224

37.5

11,416

103.8

9

Switzerland

4,490

740.8

8,687

93.5

10

Korea Rep

6,647

74.1

7,237

22.9

총계

604,558

52.7

632,281

18.3

 

자료원 : KITA

 

  - 1999년을 기점으로 영유아 식품 수입은 현재까지 줄곧 높은 성장률을 기록 중인데, 2009년과 2010년 수입 규모를 비교했을 때 그 성장 속도가 다소 둔화됐음을 알 수 있음.

  - 주요 수입국은 싱가포르, 뉴질랜드, 네덜란드, 프랑스 등으로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상위권은 대부분 유럽 국가들임. 한국 또한 2009년부터 시장 내에서의 입지를 점차 다지고 있음.

 

□ HS CODE 및 관세

 

제품명

유아용의 조제식료품 (소매용으로 한정)

HS Code

1901.10 0000

단위

kg

관세

5%

증치세

17%

자료원 : 중화인민공화국 세관 수출입 세칙

 

 

자료원 : 百度, 新華, 嬰童食品, 中商情報, 紅孩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