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중국 중서부 내륙으로 산업이전 겉과 속

주님의 착한 종 2011. 4. 16. 10:34

- 내륙을 향한 기업들의 눈치싸움 시작 -

- 중서부 발달 취약한 만큼 문제점도 많아 -

 

 

 

□ 개요

 

  세계 산업이전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번 4차 이전은 중국의 비교적 발달한 동부 연해지역에서

서부지역으로 산업이 이동 중임.

 

  매 회 산업이전이 국가와 지역에 발전을 가져왔듯이 이번에도 중국 중서부지역 발전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됨.

 

  그러나 인프라 부족, 노동력 유실, 산업체인 구축미비 등 여러 문제로 중서부지역을 향한

산업 이전이 지체됨.

 

□ 배경

 

 ○ 산업이전

  - 산업이전은 내수시장 경쟁 심화, 노동력·원가 상승으로 다른 지역으로 산업기지를 옮기는 것으로

    대부분 제조업, 방직업 등 노동 집약적 산업이전임.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의 이전이

    보편적이며 현재 중국 동부 연해지역에서 중서부 내륙지역으로 이전 중임.

 

 ○ 경영과 생산 분리

  - 생산 원가 절감을 위해 코카콜라는 하남 생산기지를 정주(州)가 아닌 루로허(河)에,중국 유명 음료제조업체인 와하하(哇哈哈)는 후베이 생산기지를 우한(武)이 아닌 홍안(安) 건설했으며 대형 브랜드들은 기존의 대도시 생산이 아닌 2·3선 도시 생산으로 옮겨가고 있음.

  - 이번 이전을 통해 경영·관리센터와 고부가 가치 창출 가능한 첨단 기술 산업은 1선 도시에 남고, 2, 3선 도시엔 생산중심 공장이 설립될 전망임.

 

□ 세계 제조업 이전 경로와 추세

 

 ○ 이전 경로와 추세

  - 제1차 이전 : 1950년대 미국·유럽 기업들이 일본·한국으로 생산체인을 옮김.

  - 제2차 이전 : 1960년대 미국·유럽·일본·한국 기업들이 대만·홍콩·싱가포르 등 지역으로 생산체인을 옮김.

  - 제3차 이전 : 1980년대 미국·유럽·일본·싱가포르·대만·한국 기업들이 장강삼각주, 환발해경제구로 산업 이전

  - 제4차 이전 : 중국 연해지역 산업이 중서부, 동북지역으로 이전됨과 동시에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국가로 산업체인 옮김.

 

시기별 산업 이동 방향

자료원 : 

 

□ 중서부 이전의 문제점

 

 ○ 위앤다복장의 위기- 산업체인 발달 미비

  - 위앤다복장(远达)은 홍콩자본회사로 미국 경찰복 납품 공장이 심천에 있었으나 노동력 원가 상승으로 인해 2009년 호남 화이화시(湖南怀化市) 화이화공업구 6000평 부지에 공장을 짓고 호남 생산, 심천 통해 운반, 해외로 수출하려 했음.

  - 초기 노동력 단가는 줄였지만 주변에 지퍼, 단추, 실 등 복장생산의 보조재 산업기지가 없어 모두 외지에서 들여올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계획 원가를 초과해 이익 손실을 봄.

 

 ○ 기술부족, 인력부족

  - 중서부 지역에 진출한 기업들이 생각지 못했던 문제 중 하나가 인력난임.

  - 현재 해당 지역의 농업인력이 공업인력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수준이 낮고, 그 숫자도 많지 않아 인건비 상승을 피해 산업을 이전한 기업들은 곤란을 겪고 있음.

 

 ○ 임금 비용 저렴할 줄 알았는데

  - foxconn과 같은 대형 기업은 정부가 나서서 이미 숙련된 직원을 구해주지만 그렇지 않은 기업은 자신의 예산을 들여 직원을 교육해야함.

  - 실례로 한 에너지절약전등 제조업체는 부득이 비숙련공의 투입을 늘려 전문공의 자리를 대체하고 있으며 성형사출 훈련에 매달 5000~6000위안씩 투자함. 하지만 훈련 후에도 숙련도가 낮아 상품 합격률은 70~80%에 못 미쳐 추가 비용 소모가 증가함.

  - 또 다른 전자 제조업체는 현지 직원 월급 평균이 낮지만 능력이 부족해 물류선 작업만 담당하게 하고 있으며 중요한 기술직은 다른 지역에서 스카우트함.

 

 ○ 노동력 유출 많은 지역 다시 생각해야

  - 위앤다복장은 본래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이전을 결정했으나 화이화시는 노동력 유출이 심한 곳이었음. 본 업체는 화이화시 노동자에게 추가근무 수당 포함 1500위안을 제시했으나 숙식 포함 연해지역 2000위안 이상의 매력을 가지지 못함.

  - 현지 직원을 저렴하게 모집할 수 있을 것 같아 보이나 정작 현지인들은 도시로 나가고 있기에 산업 이전한 회사들은 기존 임금액을 높이고 있음.

 

 ○ 규모 큰 산업, 생산 가동 어려워

  - 세계 최대 운동화 대리가공기업인 대만 바오청국제그룹공사(台湾宝国际公司)는 최근 몇 년간 계속적으로 생산기지를 연해도시에서 안휘, 강시, 후베이 등지로 이전했으며, 각지에 공장을 두고 있음.

  - 동관 공장은 성수기 때 직원 10만 명에 가깝지만 내륙 공장에서는 노동자가 부족해 2만~3만 명 모집도 어려움.

  - 후베이 양신(湖北新)공장은 1회 생산에 7000명 정도 필요하고, 올해 2회 생산을 목표로 하나 현지 인구 100만, 이주노동자 25만 명인 것을 감안하면 1만4000명 모집은 무리로 판단됨.

 

중서부지역의 빈 공장

   

자료원 : 바이두

 

 ○ 투자유치가 먼저? 환경 보호가 먼저?

  - 중서부지역은 발달된 곳이 적기 때문에 각 지방정부 사이에서 지역 GDP 향상, 세금수취를 위한 투자유치 경쟁이 치열함.

  - 따라서 기업들은 까다로운 투자조건을 내세우며 지방정부는 기업유치를 위해 환경 유해물질 배출 기업도 마다하지 않음.

  - 또한 기업들은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적합한 곳을 고르기 때문에 지방정부 간 경쟁이 심해지고 있음.

 

□ 시사점

 

 ○ 정책 덕에 부담 줄어

  - 2011년 정부는 기존 금형 제조 기지였던 위야오(余姚), 다롄(大), 황화(黄骅), 충칭(重), 이양(益)에 우대정책을 실시해 동부 연해와 해외지역 금형업체의 산업전이를 지지하겠다고 밝힘.

  - 후베이 우한은 가구산업집중발전단지를 세우고 산업이전 기업에 조세우대정책을 실기하며 산업자금 지원하기로 함.

  - 또한 최근 산동 창다오(山东长岛)정부는 증가하는 잉여 노동력을 적절 기업에 제공하기 위해 기술배양, 취업알선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함.

  - 이 외에도 기업의 수출세 감면위한 충칭의 자유무역단지 지정, 동관의 산업이전기업단지 건설, 사천의 유통경로 확장 등을 통해 기업의 부담을 덜고 있음.

     

 ○ 산업체인 전체 이전 가장 좋지만

  - 중국 유명 스포츠웨어 브랜드인 리닝(李宁)은 후베이 무먼(荆门) 이전 시 면직, 날염, 색실, 단추, 지퍼 등 모든 체인을 공업단지 안에 건설했으며 매년 총 생산량의 30% 이상을 이곳에서 생산함.

  - 이처럼 산업체인을 옮기는 것이 원자재 비용 절감에 가장 효과적이지만 일반 중소기업이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진출 전 어떤 산업 체인이 구축돼 있나 살펴보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

 

 ○ 환경보호 대책 마련 시급

  - 중서부지역으로 이동하는 제조 가공업은 대부분 오염물 배출이 심한 산업임.

  - 그러나 현재 지방 정부는 기업의 환심을 사기 위한 우대정책, 산업단지조성만 몰두하며 환경보호 관련 정책을 홀시함.

  - 산업이전 후 더 큰 오염을 막기 위해 진출시 녹색 보호구 지정, 배출오염물 제한 등의 정부 압력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