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 사회' 와 '나만 사회'
늑대는 암수가 만나면 평생을 간다.
다른 이성을 돌아보지 않는다.
또 자기 새끼를 끔찍이 사랑하고
가족을 위해 생명을 바친다.
그런데 왜 '늑대 같은 사람' 이라는 말이
나쁜 뜻으로 쓰일까?
그 이유는 바로 자기 '가족만' 챙기기 때문이다.
가족을 챙기기 위하여 주위의 모든 것들을
쑥대밭으로 만들고도 태연하다.
늑대의 특성을 보면
지금의 사회를 생각하게 된다.
늑대사회라고 할 정도로
자기 가족밖에 모르는 공동체의 회색 빛.
이제는 그 보다 한술 더 떠
나밖에 모르는 '나만 사회' 로 치닫고 있다.
주위에 누가 어떤 어려움을 겪던 상관하지 않고
내 일만 하는, 내 것만 챙기는
'나만 사회'
우리 사회의 잘못된 모습들..
기가 차는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 소 천 –
그래서...
나만이라도 공동체 정신
즉, 남을 배려하는
마음 씀씀이 강력 요구된다.
- 상대가 있기에 내가 있습니다. –
'하늘을 향한 마음 > 마음을 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선과 곡선 (0) | 2018.03.13 |
---|---|
마음 속 쓰레기통 비우기 (0) | 2018.03.13 |
뽀야 안녕 (0) | 2018.03.12 |
하느님께 여쭙다 (0) | 2018.03.12 |
보여지지 않는 소중함 (0) | 2018.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