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외환보유액 준 중국, 위안화 방어에 총력전

주님의 착한 종 2017. 1. 10. 08:42
1조 8400억 달러냐, 그게 아니면 3조 500억 달러냐.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해 6월 산정한 중국의 최소 적정 외환보유액 규모다. 

앞의 수치는 중국의 자본통제가 성공적일 경우, 뒤에 수치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 해당한다.


환율 일일 변동폭을 상하 0.5% 범위로 제한하는 관리변동환율제도를 시행 중인 중국은 

최근 들어 자본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 기업의 해외투자와 인수합병(M&A) 승인 조건을 강화했고, 

올해에는 개인의 외화 매입에 대한 승인 기준도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다.


1인당 연간 5만 달러 한도를 유지하면서도 

여행·유학 등 외화 매입의 명확한 사유를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합법적 수단을 통하지 않은 개인의 해외투자는 엄격히 불허하겠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런 자본통제의 실효성을 의심하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이런 가운데 중국 외환보유액 통계가 나왔다. 
지난해 12월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3조110억 달러로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자본통제가 먹히지 않을 경우 IMF의 적정 외환보유액 수준보다 낮다.

한 달 전에 비해 410억800만 달러가 줄었다. 
외환보유액이 지난해 10월 이후 3개월 연속으로 가파르게 줄어든 것은 
중국 당국이 자본유출에 대응하기 위해 달러를 팔고 
위안화를 매입하는 방향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했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은 지난주 5~6일 위안화 기준환율을 낮추며 달러 대비 위안화 강세를 유도했다. 
하지만 지난 6일에는 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값이 더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면서 
잠재됐던 매도 물량이 쏟아져 나와 위안화 가치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최근의 위안화 환율은 화폐 가치를 지키려는 중국 당국의 의지와 
시장의 강한 매도 심리 간에 힘 싸움을 벌인 결과다. 
누가 이길 것인가. 
일단 줄어드는 외환보유액을 눈여겨봐야 한다. 
시장에서는 중국 당국이 외환보유액과 위안화 가치, 둘 다 지키기는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서거나 외환보유액이 3조 달러 밑으로 떨어지면 
중국 당국은 외환곳간을 더 허물거나 큰 폭의 위안화 가치 하락을 용인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위안화·외환보유액 하락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먼저 고금리를 노리고 중국에 투자된 달러 캐리트레이드 자금이 미국으로 빠져나가는 흐름이 강화된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올해 안에 2~3차례 추가 인상을 단행한다고 밝힌 상태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의 인프라 투자 공약으로 미 증시가 탄력을 받은 점도 
중국의 투자 이탈을 부채질하고 있다.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비율이 260%정도로 오르는 등 과잉부채 문제가 불거지면서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의 이탈이 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박헌석 미래에셋자산운용 전략리서치팀장은 “부채부담이 커지면서 
위안화는 추세적 약세로 접어들고 있다”며 
“환율 하락기 단기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자본의 유출입이 커졌고 
급격한 환율 변화를 막기 위한 중국 정부의 방어도 잦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당국의 시장개입 영향으로 중국의 외환보유액도 이르면 1분기 중에 3조 달러가 붕괴될 가능성이 크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중국팀장은 “미·중 간 금리차 축소, 미국과의 통상분쟁,
경상수지 흑자규모 축소, 중국 부유층의 해외자산 매입 증가 등 위안화 절하압력이 강하다. 
단기 정책만으로는 환율 상승을 막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그러나 올해 위안화 가치가 계속 하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중국 당국이 위안화 가치의 안정을 위해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김유경 기자 neo3@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