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나무와 같다/이해인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6_16_12_28_04HsC_IMAGE_0_22.jpg%3Fthumb&filename=22.jpg)
끊임없이 물을 주어야
살아갈 수 있는게 나무이며,
그것은 사랑이기도 하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8%2F6_16_12_28_04HsC_IMAGE_0_17.jpg%3Fthumb&filename=17.jpg)
척박한 사막의 땅에서도
나무는 물이 있어야 한다.
뜨거운 태양 아래서도 한그루의 나무는
오랜 고통과 질식을 견디어 내며 물을 기다린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6_16_12_28_04HsC_IMAGE_0_21.jpg%3Fthumb&filename=21.jpg)
자신의 내면에
자신이 포용할 수 있는한계에까지 물을 담아
조금씩 조금씩 아끼고 아끼며,
하늘이 가져다 줄 물을 기다리는 것이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6_16_12_28_04HsC_IMAGE_0_14.jpg%3Fthumb&filename=14.jpg)
그러하기에
사랑은 기다림이기도 하다.
묵묵히 한줄기 비를기다리는 사막의 나무처럼
많은 말이 필요하지 않은 것도 사랑이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6_16_12_28_04HsC_IMAGE_0_19.jpg%3Fthumb&filename=19.jpg)
늦은 저녁 쓰러져 가는 초가집이지만
작은 소반에 한 두가지 반찬을 준비하고,
행여나 밥이 식을까 보아
아래목 이불속에 밥주발을 덮어 놓은
아낙의 촛불 넘어흔들거림에서
사랑이 느껴지지 않는가.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8%2F6_16_12_28_04HsC_IMAGE_0_14.jpg%3Fthumb&filename=14.jpg)
한마디의 말도 필요없는
다소곳한 기다림에서
진하고 격렬한 사랑은 아니지만
잔잔하게 흐르며 조금씩 스며드는
나무의 사랑을 읽을 수 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6_16_12_28_04HsC_IMAGE_0_15.jpg%3Fthumb&filename=15.jpg)
사랑은 나무와 같다.
끊임없이 물을 주어야
살 수 있는 나무와 같이
부족하지 않은 물을 주어야만 한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6_16_12_28_04HsC_IMAGE_0_20.jpg%3Fthumb&filename=20.jpg)
관심과 흥미라 불리우는 사랑의 물은
하루라고 쉬어서 되는 것이 아니다.
하루의 목마름은
하나의 시든 잎을 만드는 것과 같이
하루의 무관심은 하나의 실망을
가져다 주게 되는 것이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8%2F6_16_12_28_04HsC_IMAGE_0_15.jpg%3Fthumb&filename=15.jpg)
사랑은 나무와 같다.
너무 많은 물을 주게되면
나무의 뿌리가 썩는 것처럼,
너무 많은 관심은 간섭이 되어
의부증이나 의처증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6_16_12_28_04HsC_IMAGE_0_24.jpg%3Fthumb&filename=24.jpg)
나무가 움직여 자리를 옮기면
쉽게 시들고 힘이 없어 비틀거리는 것 처럼
사랑의 자리를 옮기면
쉽게 시들고 쉽게 비틀거리게 되기 마련이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8%2F6_16_12_28_04HsC_IMAGE_0_49.bmp%3Fthumb&filename=49.bmp)
옮겨진 나무에는
더욱 많은 관심과 보살핌이 필요하 듯
옮겨진 사랑에는 작은 상처 하나에도
더 많은 관심을 보여야만 한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6_16_12_28_04HsC_IMAGE_0_23.jpg%3Fthumb&filename=23.jpg)
때때로 오랜 가뭄을
묵묵히 견디어 내는 나무와 같이
심한 갈증이 온다 하더라도
묵묵히 견디어 내야 할 때도 있다.
때때로 심한 바람에 온몸이 흔들린다 하더라도
깊게 뿌리내린 나무와 같이
묵묵히 견디어 내야 할 때도 있다
.
오래도록 참을 수 있는
기다림과 끊임없는 관심의
두가지를 모두 가져야만 하는 나무.
그리하여 사랑은바로 나무 같지 아니한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http://clubimgfile.paran.com/dkdudah/bbs/2005/0219/1234108644_ms04.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