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중국과 친해지기

중국인을 이해하는 열 가지 핵심 - 5. 실속과 미엔쯔

주님의 착한 종 2007. 10. 9. 17:20

            중국인을 이해하는 열 가지 핵심 - 5. 현실(실속)과 미엔쯔

5. 현실(실속)과 미엔쯔(面子)

 

중국사람들은 매우 현실적이다. 다시 말해 그들은 현실을 중시하는

민족이다. 중국인들은 콩쯔(孔子)라면 위대한 사상가이자 교육자로서

지성으로 추앙하는데 이들의 현실중시 경향은 그의 영향을 받았다.

 

선뜻 이해가 가지 않을 지도 모른다. 우리는 흔히들 콩쯔는 케케묵은

문자나 즐겨 사용하며 예의니 효도니 따위의 말만 하는 「고리타분한」

존재쯤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그는 귀신이니 도깨비등과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일체 언급조차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는 「하늘」이니 「죽음」까지도 논하려 들지

않았던 사람이다. 그것은 곧 「비현실적인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가 강조한 모든 것들은 현실과 밀착된 것들, 예들 들어 교육,

부모 섬기기, 수양하기, 음악듣기, 교제하기 등등이었다.

 

사실이지 고리타분한 존재는 콩쯔나 멍쯔(孟子)가 아니라 라오쯔(老子)

�쯔(莊子)인 셈이다. 그들의 글을 보면 얼마나 황당무계한지 쉽게

드러난다.

 

『道()라고 할 수 있는 도는 도가 아니며 이름 붙일 수 있는 이름은

이름이 아니다』

 

『북쪽 바다에 곤(<>)이라는 물고기가 있데 그 크기는 수 천리가

넘는다』

 

라오쯔와 �쯔의 말이다. 무슨 뜻인지 아직도 이해가 잘 가지 않는다.

이 얼마나 뜬 구름 잡는 소리인가?

 

중국은 땅이 넓고 사람이 많아서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신화의 재료가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신화가 거의 발달하지 못했으며,

또 신화를 바탕으로 발달하는 소설도 덩달아 찬밥 신세를 면치 못했다.

신화나 소설은 모두가 「허구」를 바탕으로 하는 비현실적인 것이라고

콩쯔가 배척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현실을 중시하는 중국사람들에게는 먹는 것이야말로

「하늘」과 같은 존재였으며 모든 것은 먹는 문제로 귀착되었다.

훌륭한 통지자란 민주정치를 실시했던 천자가 아니라 먹게 해줄 수 있는

천자를 말했다. 중국사람들이 역시 「하늘」처럼 떠받드는 堯 임금과

舜임금도 민주정치를 해서가 아니라 백성들로 하여금 잘 먹고 잘 살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사람들은 천지와 인간을 창조

했다는 신보다 堯舜 임금을 훨씬 더 존경한다. 우리가 단군할아버지를

숭배하는 것과는 사뭇 다르다.

 

중국에서 먹는 것을 완전하게 해결한 것은 1949년 중국에 공산정권이

들어서고 나서의 일이므로 불과 얼마 전의 일이다. 그 동안 「조용」했던

것은 이념의 문제도 있겠지만 기본적인 「현실문제」를 해결했기 때문

이었다. 물론 이 점을 누구보다도 잘 간파했던 마오쩌뚱(毛澤東)

통치력이 뒷받침된 것이다.

 

중국사람들의 현실중시경향은 쉽게 드러난다. 복잡한 형식이나 겉치레를

싫어하며 내용을 중시한다. 그들이 지내는 제사를 보면 절차가 우리보다

훨씬 단순하다.「겉보다는 실속」인 것이다. 마오쩌뚱이나 쪼우은라이

(周恩來), 떵샤오핑(鄧小平)이 양복 입은 것을 본 적이 있는가.

그들이 흔히 하는 말이 있다.

 

『麻雀雖小(마작소소), 五臟俱全(오장구전)(참새가 작아도 오장은 있다)

 

그들에게는 있고 없음이 중요하지 어떤 것이 있느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요즘 불고 있는 이른바 「실용주의」라는 것도 그들에게는 결코

새로운 용어가 아니다. 과거 몇 십 년 동안 현실보다 이데올로기를

앞세웠던 데 대한 일종의 반대용어일 뿐이다. 등소평의 실용주의노선은

그래서 보다 더 중국적인지도 모른다.

 

중국사람들은 체면을 중시한다. 그래서 『중국의 성격』이라는 책을 쓴

바 있는 영국의 전도사 아담 스미스는 중국사람을 이해하는 관건으로

체면을 들었으며, 린위탕(林語堂)은『내 나라네 국민』(吾國與吾民)에서

중국을 지배하는 세 여신으로 체면, 운명, 은전(恩典)의 여신을 들었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체면의 여신이라고 했다.

 

중국의 문화를 주도해온 사상은 콩쯔로 대표되는 유가였다.

그런데 유가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현실을 중시한다. 그래서 내세가

없다. 그러다 보니 문제가 생겼다. 죽음 앞에서는 누구나 두려움을

느끼게 마련인데, 불교처럼 내세를 앞세우면 인심을 모을 수도 있으련만

유가에서는 근본적으로 불가능했다.

 

바로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게 「이름을 남기는 것」이다. 그러면 육신은

죽되 정신을 죽지 않는다고 보았다. 열심히 공부하여 자신의 이름은 물론

조상의 이름까지 드날리는 것(立身揚名)이야말로 효의 극치라고 했다.

명분이니 명예라는 말은 그래서 나왔다.

 

그런데 名은 다분히 정신적인 이름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육신을

나타내는 이름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이목구비를 가지고 있는

얼굴이다. 곧 얼굴은 육신의 실질적인 이름인 것이다.

그래서 중국 사람들은 얼굴도 명예와 함께 중시했다.

 

「경을 친다」는 말이 있다. 경이란 이마에 먹물을 들이는 형벌로 참형

다음 가는 중형이다. 평생 얼굴을 들 수 없게 하는 형벌이었던 것이다.

 

또 厚顔無恥(후안무치)라는 말도 있다. 얼굴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해

체면을 닦지 못한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서, 실제로 중국에서는 그런

사람에게 얼굴가죽을 벗기는 형벌을 가했다. 너무 두꺼웠기 때문이다.

이처럼 얼굴은 육신의 상징으로 중시되었다. 우리나 중국이나 지금도

경찰에 체포된 범인이 얼굴부터 가리는 것도 이런 데서 연유한 것이다.

 

체면을 중국어로 미엔쯔(面子)라고 한다. 곧 얼굴이라는 뜻이다.

워낙 미엔쯔를 중시했던 민족이었던 만큼 체면 때문에 죽음을 자청했던

경우도 많다. 周 나라가 서자 불사이군을 외치면서 수양산에 들어가 굶어

죽기를 자청했던 뽀이(伯夷)와 수치(叔齊)도 사실은 체면 때문이었으며,

료 우빵(劉邦)에게 패주를 거듭하던 샹위(項羽)도 도망치면 목숨만은

부지할 수가 있었지만 체면 때문에 烏江을 건너기를 거부하고 자결을

선택했다. 『내가 무슨 면목으로 건넌단 말인가』.

 

總理衙門 이라면 청나라 때 외교를 담당했던 기관으로 지금의 외무부에

해당된다. 당시는 서구 열강들이 중국을 마음껏 유린하던 때였다.

서양사람들은 걸핏하면 총리아문을 안방 드나들 듯하면서 자신들의

요구를 주장했다. 서양사람들이 이 곳을 출입할 때 재미있는 광경이

벌어지곤 했다.

 

즉 잔뜩 거드름을 피우면서 보무도 당당하게 정문을 통해 들어간다.

정문은 곧 체면의 상징이기 때문에 그렇게 함으로써 중국사람들의

기세를 꺾어 놓는다. 그러나 나중에 요구사항을 관철시키고 나갈 때는

슬그머니 옆 문을 이용했다. 구겨진 중국사람들의 체면을 다시 세워주기

위해서였다.

 

체면중시 풍조는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 체면과

관계되는 말은 무척 많다. 우선 체면 차리는 것을 쭈오 미엔쯔(做面子),

남의 체면을 세워주는 것을 게이 미엔쯔(給面子), 제 삼자의 체면을 봐서

부탁을 들어주는 것을 마이 미엔쯔(賣面子)라고 한다.

「체면을 팔았다」는 뜻이다.

 

그뿐인가, 체면이 선 상태를 요우 미엔쯔(有面子), 깍인 상태를

메이 미엔쯔(沒面子), 자신의 체면을 세우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쯩 미엔쯔(爭面子), 이상의 것들을 집대성한 것을 미엔쯔 꽁푸(面子工夫)

라고 한다. 일종의 「체면학」인 셈이다.

중국사람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로 이 「미엔쯔 꽁푸」

에 밝아야 한다.

 

그러면 중국사람들은 「체면」과 「현실」중 어느 것을 더 중시하는가.

이 두 가지는 보완적이기보다는 상충되는 경우가 더 많다. 너무 체면만

차리다가는 현실의 이익을 놓치기 쉽다. 중국사람들은 양자가 상충될

때 「현실」쪽을 택한다. 즉 양자를 면밀히 검토하여 유리하다는 판단이

서면 체면도 버릴 줄 아는 사람들이 그들이다. 그래서 상대가 아무리

의연하게 대처해도 전후좌우를 따져 유리하다고 생각되면 얼마든지

숙이고 들어오는 사람들이기도 하다.

 

지난 1983 5 5, 중국 민항기 사건이 발생했다. 수명의 납치범에

의해 중국의 민항기가 우리의 춘천 비행장에 불시착한 것이었다.

유사 이래 처음 경험하는 우리로서는 이 엄청난 사건에 전국이 놀랐지만

사실 우리보다 더 놀랐던 것은 중국이었다. 그들은 다급했던 나머지 민항

국장 沈圖 일행의 방한을 요청해왔다. 이때 중국외교부는 사상 최초로

우리나라를 대한만국(Republic of Korea)이라고 정식으로 호칭했다.

목전의 이익을 앞두고 체면을 따질 겨를이 없었던 것이다.

 

당시 도하 각 매스컴들은 흥분한 나머지 금방 한.중 간에 무슨 변화라도

있을 것처럼 보도했다. 그러나 양국이 국교정상화를 이룬 것은 그로부터

9 3개월이라는 시간이 더 흐른 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