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 원리
무지개 원리로 잘 알려진
차동엽 신부님이 위중하시다는 소식입니다.
신부님을 사랑하는 분들이 많으신 때문인지
신부님이 이미 선종하셨다는 루머와 함께
계속 문의전화를 하시는 통에
그제 밤부터 어제 오전까지는
다른 일을 못할 정도였습니다.
아마도 곧 선종하실 신부님을 생각하며
신부님의 무지개원리를
나름 정리해보았습니다.
'무지개 원리'는 모두 일곱 가지로 특별하지 않다.
1.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불행은 내 허락 없이는 오지 않는다.
2. 지혜의 씨앗을 뿌려라.
역경과 시련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지혜가 생긴다.
3. 꿈을 품으라.
먹잇감을 보고 사냥개가 달렸다.
다른 개들은 그 사냥개를 보고 달렸다.
그러나 다른 개들은 중간에 지쳐 중단했다.
그러나 사냥개는 목표가 있었기에
끝까지 달려 먹잇감을 쟁취했다.
4. 성취를 믿으라.
꿈을 꾸고 있어도
그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과
성취에 대한 믿음이 있을 때
그 꿈은 비로소 현실이 된다.
믿음은 우리에게 꿈을 꾸는 것에
'플러스 알파' 효과를 가져온다.
믿음은 우리에게 자신감을 주고,
성취를 위해 노력하는 힘을 준다."
5. 말을 다스려라.
생각과 말 그중에 말이 이긴다.
생각은 스쳐 지나갈 뿐이지만, 말은 이루어낸다.
6. 습관을 길들여라.
생각 ─> 행동 ─> 습관 ─> 인격 ─> 운명
즉 습관이 운명을 결정짓는다.
7. 절대로 포기하지 마라.
그는 마음과 목숨과 힘을 다해
무언가를 사랑하는 것이 습관화되면
어느 것이든 성취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한 선비가 강을 건너게 해주고 있는
사공에게 으스대며 물었다.
“자네 글을 지을 줄 아는가?”
“모릅니다.”
그럼 세상 사는 맛을 모르는구먼.
그러면 공맹(孔孟)의 가르침은 아는가?
“모릅니다.”
“저런 인간의 도리를 모르고 사는구먼,
그럼 글을 읽을 줄 아는가?”
“아닙니다. 까막눈입니다.”
“원 세상에! 그럼 자넨 왜 사는가?”
이때 배가 암초에 부딪혀 가라앉게 되었다.
이번에 사공이 선비에게 물었다.
“선비님, 헤엄치실 줄 아십니까?”
“아니, 난 헤엄칠 줄 모르네.”
“그럼 선비님은 죽음 목숨이나 마찬가지입니다!”
* 이 세상에는 여러 가지 사는 재미도 많고 보람도 많은데
우리가 덜컹 인생의 ‘암초’에 부딪히게 될 때
자기 목숨 하나 건지지 못한다면
그게 다 무슨 소용이 있을까?
설령 세상의 지식은 모자라더라도
살아남는 법을 아는 사공이
오히려 더 큰 지혜를 가진 것이 아닐까?
- 차동엽 신부님의 '무지개 원리' 중에서 -
'하늘을 향한 마음 > 마음을 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 음악 – 11월19일 (0) | 2019.11.19 |
---|---|
아침 음악 - 11월18일 (0) | 2019.11.18 |
아침 음악 - 11월08일 (0) | 2019.11.08 |
아침 음악 – 11월07일 (0) | 2019.11.07 |
아침 음악 – 11월06일 (0) | 2019.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