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바이두에 불에 탄 사진 올려… '전기레인지' 등서 고의로 가열 흔적
폭발 주장 고객 "삼성 협박해 돈 받았으면…" 글 올리기도
중국에서도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이 폭발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으나 보상금을 노린 자작극이었던 것으로 19일 밝혀졌다. 중국에 출시한 노트7에는 문제의 삼성SDI 배터리가 아닌 안전성이 입증된 중국 ATL사(社)의 배터리가 탑재돼 있다. 19일부터 순차적으로 전 세계에 공급하는 교환 제품에도 ATL 배터리가 적용됐다. 그런 상황에서 중국에서 배터리 폭발이 발생했다면 삼성엔 큰 악재(惡材)가 될 수 밖에 없다. 새로 지급하는 노트7에서도 배터리 폭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폭발 주장이 처음 제기된 것은 지난 18일. 중국 포털 사이트 바이두(百度)에 불에 탄 듯한 노트7 사진이 올라왔다. 이 게시자는 '노트7을 사용하던 중 갑자기 화면이 검게 변하더니 곧 폭발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중국 삼성전자 콜센터로도 폭발 주장이 한 건 접수됐다.
중국에서 폭발 주장이 처음 제기된 것은 지난 18일. 중국 포털 사이트 바이두(百度)에 불에 탄 듯한 노트7 사진이 올라왔다. 이 게시자는 '노트7을 사용하던 중 갑자기 화면이 검게 변하더니 곧 폭발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중국 삼성전자 콜센터로도 폭발 주장이 한 건 접수됐다.

삼성전자는 해당 제품 두 개를 모두 회수해 배터리 제조사인 ATL과 공동 조사에 착수했다. 삼성전자와 ATL은 조사 하루 만인 19일 "엑스레이와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제품을 분석한 결과 배터리를 외부에서 고의로 가열한 흔적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정확한 원인 조사를 위해 전자레인지, 열풍기, 인덕션 레인지(전기레인지), 오븐 등에 노트7을 넣고 재현(再現) 실험까지 했다. 그 결과 두 대 모두 '인덕션 레인지'에 올려놓고 200도 온도에서 2~3분 정도 제품을 구운 모습과 가장 흡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에 접수된 불량 제품은 배터리만 연소됐는데 중국에선 배터리뿐 아니라 내부 회로, 카메라 등 다른 부품까지 모두 연소된 것도 차이점이었다. 오히려 배터리 내부는 큰
손상 없이 깨끗했다. 폭발을 주장한 소비자 중 한 명이 지난 2일 중국 메신저 위챗과 바이두에 '방금 코랄블루 색상의 폭탄을 받았다. 실제로 폭발해서 삼성을 협박해 돈을 받았으면 좋겠다'는 글을 올린 것도 자작극을 뒷받침하는 유력한 증거가 됐다.
박순찬 기자
출처 : 중국 취업비자 오버비자 대행 185-0298-4746
글쓴이 : 제일비자 원글보기
메모 :
'중국에서의 기억과 발자취 > 중국과 친해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017 식당에 술 싸들고 가는 중국인, 왜냐하면 [한국인은 잘 모르는 중국인의 생활 습관] (0) | 2016.09.26 |
---|---|
중국, 북한에 핵물자 수출한 마샤오훙 대표 체포 (0) | 2016.09.22 |
데이트 거절에 화상 테러 당한 중국 소녀, 당당한 삶을 약속하다 (0) | 2016.09.09 |
베이징 영화학원 신입생 등록. 선남선녀 집합소 (0) | 2016.09.08 |
유자 999개로 사랑고백한 中남성, 결과는… (0) | 2016.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