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시행되면서 범용공작 기계가 생산되기 시작하였고 |
수입해서 사용하던 외국산 금형을 모방하여 설계도면을 작성하고 도면에 의한 작업방법이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중반 이후이다. |
이때부터 산업에 필요한 단순한 금형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외국과의 기술제휴 등을 통하여 급속하게 발전한 시기로서 65년부터 70년까지를 금형기술의 발아기라고 볼 수 있다 |
. |
프레스금형과 플라스틱금형 등이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
금형의 종류도 반도체금형, 전자, 전기용품 금형, 기계류 부품용 금형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
또한, 금형의 질적 향상을 위해 관련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
대학, 전문대학, 기능대학, 공업고등학교 등에 금형관련학과가 개설되었다. |
80년 후반기부터 정부의 금형산업 육성시책에 힘입어 국내 금형산업은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는 전환기가 되었으며, 범용금형을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지역 각 국가에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
93년도부터는 종업원 30명 이상의 업체에 첨단설비 및 시스템이 본격 보급되었다 |
. |
정밀을 요구하는 금형제작이 가능해져 수출확대 및 고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
'내 이야기 · 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형공부 3 - 금형의 정의 재정리 (0) | 2016.08.12 |
---|---|
금형공부 2 - 금형의 정의 (0) | 2016.07.27 |
금형 공부를 시작하며 (0) | 2016.07.27 |
그리운 아버지의 축일날에 (0) | 2016.06.28 |
공기 청정기 있는 분 보세요. (0) | 2016.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