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일에 3회 이상 술을 마시는 사람은 당장은 정상 혈압이라도
1~2년이 지나면 고혈압이 발생할 확률이 무려 80% 가량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 학술지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건강위험요인 상태변화에 따른
고혈압 건강위험평가 모형 개발'을 발표하고 2010~2012년 건강검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0년 건강검진에서 정상 혈압 판정을 받은 사람 1만1632명의
생활습관을 따져 2011~2012년의 고혈압 진단 여부를 살펴봤다.
이들 중 2010년에 주3회 이상 고음주한 사람의 5.19%는
2011~2012년 고혈압 판정을 받아 고음주를 하지 않은 사람이 고혈압으로 발전한 경우인
2.90%와 큰 차이를 보였다.
고음주자가 저·비음주자보다 고혈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79.0% 가량 높은 셈이다.
고음주 만큼은 아니었지만 흡연과 가족력도 고혈압으로 발전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흡연자들의 고혈압 발생률은 4.44%로 비흡연자의 3.31%보다 34.1% 높았다.
고혈압 가족력이 있는 경우 5.45%가 고혈압 환자가 돼 가족력이 없는 경우의 3.55%보다
고혈압으로 발전한 비율이 53.5% 높았다.
정상 혈압이었다가 고혈압이 된 비율은 50대 이상에서 가장 컸다.
50대 이상의 경우 정상 혈압이었던 사람의 10.07%가 고혈압이 됐는데,
이는 30대 이하 2.58%, 40대 5.04%와 큰 차이가 났다.
성별로는 남성이 5.05%로, 1.90%인 여성보다 2.7배 가량 높았다.
비만 역시 고혈압 발생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비만도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복부비만이 계속되는 경우 비만으로 발전할 확률이 높았다.
2009~2010년 2년 동안 비만도를 과체중 이상 지속한 사람의 6.25%는
2011~2012년 고혈압이 발생해 전체 고혈압 발생률인 4.02%보다 55.5% 높았다.
마찬가지로 복부 비만이 지속된 사람의 고혈압 발생률은
평균보다 62.9% 높은 6.55%였다.
2009~2010년 2년간 고혈압 전 단계의 혈압 수치를 유지한 사람은 정상 유지자에 비해
고혈압 발생 확률이 16.5배나 높았다.
고혈압으로 발전할 확률은 여성(30.9배)이 남성(14.7배)보다 2배 이상 컸다.
[헬스통신]
'하늘을 향한 마음 > 중년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라면 꼭 알아야할 상식 20가지 (0) | 2016.01.26 |
---|---|
전립선비대증 있다면 (0) | 2016.01.26 |
[스크랩] 똑바른 목 (0) | 2016.01.20 |
[스크랩] 머리가 무거워요, 머리가 멍해요 (0) | 2016.01.20 |
“살이 찌고, 허리가 아프기 시작했다” (0) | 2016.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