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腦卒中)이란 흔히
중풍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경계통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증상이다.
우리의 뇌는 뇌혈관을 타고 흐르는 혈액에 의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데,
이런 혈관에 조금이라도 이상이 생기면 뇌는 손상을 입게 된다.
이것이 바로 뇌졸중(腦卒中)이다.
뇌(腦)에 이상이 생기면 뇌신경이 연결된 부위에 자연스레 이상이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눈과 얼굴, 팔, 다리까지 저리거나 먹먹한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겨울철에는 움직임이 적어 혈관이 수축되기에 혈류가 막혀
발생확률이 여름보다 2배 가까이 높아진다.
앉았다 일어나거나 하면
눈 앞이 핑 돌며 어지러움을 느끼는 일이 가끔 있다.
이런 증상은 일상 생활 중 빈번하게 발생,
단순히 빈혈로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지만 알려진 것과 달리,
실제로 빈혈에 의한 어지럼증은 드물다.
보통 스트레스나 과호흡, 불안증,
부정맥이 원인이 될 수 있고 귀에 이상이 발생하며 눈앞이 캄캄하거나
몽롱한 느낌을 호소하는 환자도 있다.
어지럼증이 장기간 반복된다면 단순한 빈혈이 아닐 수 있으므로
전문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현명하다.
특히 뇌졸중(腦卒中) 발병 위험이 높은 50세 이상일 경우
어지럼증을 자주 느낀다면 뇌질환 검사를 반드시 받아보는 것이 좋다.
뇌경색 혹은 뇌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도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뇌졸중(腦卒中)의 위험인자인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갑자기 보행 장애를 겪거나
감각이상 등을 호소하는 경우라면 단순한 빈혈이 아닌
뇌졸중(腦卒中)의 전조증상일 수 있다.
뇌졸중(腦卒中)은
제 때 치료를 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하고
오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지만 전조증상이 경미해,
많은 사람들이 가볍게 생각하고 그냥 넘기는 경우가 많다.
뇌졸중(腦卒中) 전조증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뇌졸중을 의심해봐야 하고,
특히 가족력이 있는 경우라면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뇌졸중(腦卒中)의 전조 증상으로
가장 흔한 것이 빈혈과 같은 어지럼증이다.
뇌(腦)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피가 모자랄 때 오는
빈혈(貧血) 증상이 나타나는 것.
뇌혈관이 막혀
뇌출혈이 생기면서 나타나는 출혈성 뇌졸중(腦卒中)의 경우
두통과 함께 구토증세가 갑작스럽게 나타나기도 하며,
신체 일부가 마비될 가능성도 있다.
또 언어장애와 안면신경장애, 마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뇌의 손상이 치매로 이어지기도 한다.
뇌졸중(腦卒中)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가장 우선돼야 하는 것은
운동으로 꾸준한 유산소 운동을 통해
혈관을 튼튼히 하고 혈액순환이 원활하도록 도와야 한다.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으므로
체질에 맞는 적당한 운동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가장 좋은 운동법은 빨리 걷기다.
비만 또한 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므로
갑자기 체중이 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식습관 개선을 통해 뇌졸중(腦卒中)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뇌졸중(腦卒中)이란 무엇인가?
뇌졸중(腦卒中)이란
뇌(腦)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고 있는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혈액공급이 되지 않아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마비증상을 말한다.
○고혈압
뇌졸중(腦卒中)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뇌경색 50%이상, 뇌출혈 70-80%에서 동반됨
○뇌경색
고혈압이 있으면 동맥경화증이 일어나서
혈관의 벽이 두꺼워지거나 딱딱해지게 되어 혈관이 좁아지며,
혈관의 안벽이 상처받기 쉬워 매끄럽지 못해 엉겨 붙으면서
결국 막혀 뇌경색이 일어나게 된다
'하늘을 향한 마음 > 중년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대 통풍 위험신호를 아시나요? (0) | 2015.12.07 |
---|---|
대장암에 대한 정의와 상식 (0) | 2015.12.02 |
공기 좋은 곳으로 이사가면 폐암이 좋아질까? No! (0) | 2015.11.26 |
잠을 정복헤 보세요 (0) | 2015.11.21 |
커피 치매 예방, 사망 위험도 줄어..왜? (0) | 201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