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창업을 준비하며/중국무역·사업 경험기

중국인의 ‘협상 명심보감’ ④ 먼저 이익 밝은 소인 되고 나중에 의 찾는 군자 되라

주님의 착한 종 2011. 6. 26. 10:45

비즈니스 협상에서 이익을 철저하게 따지는 건 중국인에게 정해진 이치,

이른바 정리(定理).

오죽하면먼저 이익에 밝은 소인이 되고,

그 후에 의를 찾는 군자가 되라(先小人後君子)’는 성어가 나올까.

장승철(전 부산은행 부행장)하나대투증권 사장은 중국 비즈니스맨들의 협상술을

이 성어 한마디로 요약한다.

그는한국 비즈니스맨들은 반대로 좋은 게 좋은 식으로 대충 협상을 끝내고,

나중에 문제가 생기면 얼굴을 붉히는 선군자후소인(先君子後小人)의 성향을 보인다

이는 우리가 중국인과의 협상에서 밀리는 한 요인이라고 말한다.

“5
년 전 부실자산(NPL) 인수 관련 협상 때였습니다.

상대 파트너는 우리 측과관시(關係)’가 두터운 사람이었지요.

그러나 협상장에 들어선 순간 그는 돌변했습니다.

치밀한 자료를 제시하며 우리의 허점을 맹렬히 공격했습니다.

라오펑유(老朋友: 오랜 친구)가 적으로 변한 것이지요.

우호적인 협상을 기대했던 저희들이 그만 당하고 말았지요.”

 

1994홍콩법인장으로 활동한 이후 2008년까지  현대증권의 중국사업을 주도했던 장 부행장은

그 이후 중국인들과 협상에 나설 때면 나 역시 철면피가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중국인들이 말하는 관시의 뜻을 명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관시란 이익이 보장될 때라야만 성립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그는관시란 내가 만든 이익의 울타리에 너도 끼워준다는 뜻이라며

단지 몇 번 만나 술 마시고, 선물을 줬다고 해서 관시가 형성됐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착각이라고

강조했다.

관시는 중국 비즈니스의 윤활유일 뿐 의존해야 할 대상은 결코 아니라는 얘기다.

장 사장은 관시에 의존한 비즈니스 대안으로조직 플레이를 제시한다.

개인에 의존한 비즈니스에서 탈피, 회사의 각 조직이 유기적으로 달려들어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중국 금융업 종사자들과 협상을 해보면 그들이 우리보다 훨씬 더 조직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 업무에 정통한 스타플레이어 한 명에 의존하면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어 갈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