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에스테르기 4,17(12).17(14)-17(16).17(23)-17(25)
그 무렵 17(12) 에스테르 왕비가 죽음의 공포에 사로잡혀 주님께 피신처를 구하였다.
17(14) 그러고 나서 이스라엘의 주님께 이렇게 기도드렸다.
“저의 주님, 저희의 임금님, 당신은 유일한 분이십니다. 외로운 저를 도와주소서. 당신 말고는 도와줄 이가 없는데 17(15) 이 몸은 위험에 닥쳐 있습니다. 17(16) 저는 날 때부터 저의 가문에서 들었습니다. 주님, 당신께서 모든 민족들 가운데에서 이스라엘을, 모든 조상들 가운데에서 저희 선조들을, 영원한 재산으로 받아들이시고 약속하신 바를 채워 주셨음을 들었습니다.
17(23) 기억하소서, 주님, 저희 고난의 때에 당신 자신을 알리소서. 저에게 용기를 주소서, 신들의 임금님, 모든 권세의 지배자시여! 17(24) 사자 앞에 나설 때 잘 조화된 말을 제 입에 담아 주시고, 그의 마음을 저희에게 대적하는 자에 대한 미움으로 바꾸시어, 그 적대자와 동조자들이 끝장나게 하소서.
17(25) 당신 손으로 저희를 구하시고, 주님, 당신밖에 없는 외로운 저를 도우소서. 당신께서는 모든 것을 알고 계십니다.”
복음 마태오 7,7-12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7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8 누구든지 청하는 이는 받고, 찾는 이는 얻고, 문을 두드리는 이에게는 열릴 것이다.
9 너희 가운데 아들이 빵을 청하는데 돌을 줄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 10 생선을 청하는데 뱀을 줄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 11 너희가 악해도 자녀들에게는 좋은 것을 줄 줄 알거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야 당신께 청하는 이들에게 좋은 것을 얼마나 더 많이 주시겠느냐?
12 그러므로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이다.”

철학과의 두 학생이 심하게 다투고 있었습니다. 평소에도 사이가 좋지 않아 곧잘 다투던 두 사람이었지요.
그날은 바람이 많이 불던 날이었는데 철학과 학생답게 특이한 문제로 논쟁이 붙은 것입니다. 두 사람은 은행나무 아래 벤치에 앉아 있었는데 세차게 불어오는 바람 때문에 은행나무의 가지가 흔들리자 그 중 한 학생이 말했어요.
“바람이 세차게 부니까 나뭇가지가 움직이는구나.”
이때다 싶어 옆에 앉아 있던 친구가 반박을 했습니다.
“넌 그것도 모르니? 나뭇가지가 움직이는 게 아니라 바람이 움직이는 거라고.”
“무슨 소리! 그건 바람이 움직이는 게 아니라 나뭇가지가 움직이는 거야, 이 바보야.”
양보 없이 서로가 옳다고 우겨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같이 벤치에 앉아 이야기를 하고 있던 다른 친구들까지도 그 논쟁에 가세했습니다. 여러분들은 누구의 의견이 맞는 것 같습니까? 나뭇가지가 움직이는 것일까요? 아니면 바람이 움직이는 것일까요?
이 문제에 대한 말다툼으로 언성이 점점 높아지자 지나가던 교수님께서 자초지종을 물었고, 두 학생은 서로가 옳다면서 시비를 가려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지요.
“나뭇가지가 움직이건 바람이 움직이건 그건 살아가는데 별 중요한 일이 아니야. 삶에 있어 중요시 여겨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지금 자네들처럼 자신만 옳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마음의 움직임이야. 그 바람이 너무 세면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기 십상이지. 중요한 것은 언제나 자신들의 마음이 어느 방향으로 부는가 헤아려 보는 일이지.”
교수님의 말씀처럼 자신의 주장이 옳다는 생각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것. 그래서 주님께서 말씀하신 사랑의 나라인 하느님 나라를 완성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함께 어울려 살기보다는 자기의 뜻만을 주장하고, 자기가 원하는 대로 살아가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세요.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이다.”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이고, 상대방의 뜻대로 행동해주는 것. 이것이 바로 사랑이며,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인 것입니다. 그런데 내 자신은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인 사랑을 얼마나 실천하고 있었을까요?
이 은혜로운 사순시기에 우리 모두 깊이 반성해 볼 문제입니다.
설사 당신의 친구가 당신을 배신하는 행동을 해도 당신은 친구의 욕을 남에게 해서는 안 된다. 오랫동안의 우정이 수포로 돌아가기 때문이다.(싱)
소심한 정치가(‘행복한 동행’ 중에서)
어떤 호텔에 한 세일즈맨이 들어왔다. 그가 문으로 들어서는 것을 보고 지배인이 말했다.
“손님, 빈 방이 딱 하나 있기는 하지만 내드리기가 곤란합니다.”
“이유가 뭐요? 왜 방이 있는데 줄 수가 없다는 거요?” 지배인은 말했다.
“바로 밑의 방에 거물급 정치가가 머물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는 신경이 아주 예민해서 작은 소리에도 화를 낸답니다. 만약 손님이 그 방에서 어떤 소리라도 낸다면 그는 법석을 떨 겁니다. 그러니 다른 호텔을 찾아보세요.”
“다른 곳을 모두 둘러봤지만 빈 방이 없어요. 나는 하루 종일 시내에 나갔다가 밤에나 돌아와 잠만 자고 바로 떠날 테니 걱정할 것 없소. 아무 소리도 안 내겠다고 약속하지요.”
그는 간신히 방을 얻었다. 그리고 시내에 나가 일을 보고 밤중이 되어서야 돌아왔다. 녹초가 된 그는 의자에 걸터앉아 한쪽 신발을 벗다가 그만 마룻바닥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신발은 ‘텅!’ 소리를 내며 마룻바닥을 울렸다. 순간 그는 아래층에 있는 정치가에게 방해가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아주 조심스럽게 나머지 신발을 벗어 바닥에 소리 없이 내려놓았다.
그리고 침대에 눕자마자 잠이 들었다. 한 시간쯤 지났을까, 갑자기 방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났다. 방문을 여니 그 거물급 정치가가 몹시 화가 나서 서 있는 게 아닌가. 그는 당황해서 물었다.
“제가 잠결에 무슨 소리라도 질렀나요?” 그러자 정치가는 말했다.
“그게 아니라, 도대체 한쪽 신발은 어떻게 된 거요? 나머지 한쪽 신발이 떨어져야 잠을 잘 거 아니오? 나는 한 시간 동안이나 그 소리를 기다렸소!”
정치가의 말에 세일즈맨은 속으로 웃으며 생각했다.
‘쯧쯧, 이 정치가에 비하면 마음 놓고 푹 잠들 수 있는 나는 얼마나 행복한가!’
그리고 이렇게 말했다. “곧 떨어질 거요.”